TMI 저장소

세상의 모든 궁금증을 파헤치는 지식 탐험가, Dr. TMI입니다. 사소하지만 재밌고, 잡다하지만 쓸모 있는 정보들!

  • 2025. 5. 30.

    by. Dr. TMI

    목차

      건강검진 결과지를 해석하는 것은 단순히 수치 확인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검진 결과표의 ‘정상A’, ‘정상B’, ‘질환 의심’ 등의 구분부터 시작해 혈압, 체질량지수, 요단백, 혈당, 간기능(AST/ALT), 신장기능(크레아티닌, BUN), 백혈구와 혈소판 수치까지 각 항목별로 어떤 의미를 가지며 정상 수치는 어떻게 되는지 명확히 이해해야 향후 건강관리에 유익합니다.

      특히 수치의 변화는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전년도 결과와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검진 결과지 항목을 명확히 해석하고, 연령대별로 꼭 확인해야 할 검사항목까지 확인해 보세요.

       

       

       

       

       

       

       

       

      1. 건강검진 결과표의 기본 구성

      1-1. 정상A, 정상B, 질환 의심, 유질환자란?

      건강검진 결과표 첫 장에는 ‘정상A’, ‘정상B’, ‘질환 의심’, ‘유질환자’ 등의 분류가 나와 있습니다. 이 구분은 전체 건강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요약 평가입니다.

      • 정상A는 기준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이상적인 수치입니다.
      • 정상B는 기준치 근처이지만 조금 벗어나 있거나, 건강관리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상태입니다.
      • 질환 의심은 특정 수치가 질병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므로 추가 정밀검진이 필요합니다.
      • 유질환자는 이미 진단을 받았고 치료 중인 경우를 뜻합니다.

      1-2. 결과표 첫 장에서 꼭 봐야 할 항목

      첫 페이지에서는 전반적인 평가와 함께, 비만 여부, 혈압 상태, 당뇨 위험, 간기능, 신장기능 등에 대한 요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자신의 건강 수준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후 상세 수치와 연결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검진 항목 해석

      2. 주요 건강검진 항목 해석

      2-1. 비만도(BMI), 혈압 해석법

      •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 18.5~24.9: 정상
        • 25~29.9: 과체중
        • 30 이상: 비만
      • 혈압은 수축기/이완기 기준으로
        • 정상: 120/80 mmHg 미만
        • 경계 고혈압: 130/85 mmHg
        • 고혈압 의심: 140/90 mmHg 이상

      2-2. 요단백, 혈색소(Hb), 혈당 수치의 의미

      • 요단백: ‘양성’이면 단백뇨 의심, 신장 기능 저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혈색소(Hb): 남성 1316.6g/dL, 여성 1215.5g/dL이 정상입니다. 낮으면 빈혈, 높으면 당 조절 이상을 의미합니다.
      • 혈당: 공복 혈당이 70~120mg/dL이면 정상. 126mg/dL 이상이면 당뇨 가능성이 높습니다.

      2-3. 간기능 검사(AST·ALT), 신장기능 검사(Creatinine, BUN)

      • AST·ALT는 간세포에서 나오는 효소로
        • 정상: 0~32U/L
        • AST 51 이상, ALT 46 이상은 간염 의심
      • 크레아티닌(Creatinine): 남자 0.61.1mg/dL, 여자 0.40.8mg/dL
      • 요소질소(BUN): 6~20mg/dL
        이 수치가 높으면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2-4. 콜레스테롤 수치(HDL, LDL), 요산 수치 해석

      • HDL(좋은 콜레스테롤): 60mg/dL 이상이 이상적
      • LDL(나쁜 콜레스테롤): 130mg/dL 이하 유지 권장
      • 요산: 남성 8mg/dL, 여성 7mg/dL 이상이면 고요산혈증, 통풍 위험 증가

      2-5. 백혈구, 혈소판 수치가 의미하는 것

      • 백혈구: 4,000~10,000개/μL, 감염이나 면역 이상 여부 확인
      • 혈소판(PLT): 30만~50만개/mm³, 부족하면 출혈성 질환 의심

      3. 연령대별로 꼭 확인해야 할 건강검진 항목

      3-1. 20~30대: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수치 확인

      젊다고 방심하면 안 됩니다. 고혈압, 고지혈증은 미리 발견하고 예방해야 합니다.

      • 체크 항목: 혈압, BMI, 콜레스테롤, 혈당, 간기능

      3-2. 40~64세: 암 및 대사질환 중심의 항목

      질병 발생률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보다 정밀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 체크 항목: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간초음파, 자궁·유방검사(여성)

      3-3. 65세 이상: 뇌졸중, 치매 등 중증 질환 중심

      고령층은 치매검사, 뇌 MRI 등도 권장되며 전반적인 신체 기능 저하에 대비한 검진이 중요합니다.

      체크 항목: 뇌검사, 심전도, 혈관검사, 골밀도


      4. 건강검진 결과 해석 후 어떻게 관리할까?

      4-1. 수치가 정상인데도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한 이유

      정상 수치는 기준일 뿐, 절대적인 건강 보증은 아닙니다. 평소보다 수치가 올라갔다면 예방적 조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정상B’는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4-2. 정상B, 경계값일 때의 대처법

      • 식이조절, 금연, 절주, 꾸준한 운동
      • 3~6개월 내 재검진 권장
      • 필요 시 주치의와 상담하여 생활습관 처방 받기

      5. 건강검진 결과지를 보는 안목이 건강을 바꾼다(정리표)

      정확한 건강검진 항목 해석은 미래의 건강을 바꾸는 가장 첫걸음입니다. 결과표를 읽는 법을 익히고, 수치를 이해하는 습관을 들이면 질환 예방은 물론, 조기 치료도 가능해집니다. 특히 수치의 변화는 우리 몸이 보내는 가장 정직한 신호입니다. 이번 건강검진 결과지를 자세히 살펴보고, 작은 이상이라도 지나치지 말고 적극적으로 건강을 관리해 보세요.

       

       

      건강검진 주요 항목 해석 요약표
      구분 검사항목 정상 수치 기준
      비만도 체질량지수 (BMI) 18.5 ~ 24.9
      혈압 수축기 / 이완기 <120 / <80 mmHg
      혈색소(Hb) 높으면 혈당 과다, 낮으면 빈혈·백혈병 등 남: 1316.6g/dL
      여: 1215.5g/dL
      혈당 126mg/dL 이상: 당뇨 의심 공복 시 70~120mg/dL
      요단 음성 양성 시 단백뇨, 신장 기능 저하 의심
      AST/ALT 0~32U/L AST>51, ALT>46: 간염, 간세포 손상 의심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시 신장기능 저하 가능성 남: 0.61.1
      여: 0.40.8 mg/dL 
      요소질소(BUN) 높으면 신장 기능 저하, 단백질 대사 이상 6~20mg/dL
      HDL 콜레스테롤 높을수록 좋음, 동맥경화 예방 효과 ≥ 60mg/dL
      LDL 콜레스테롤 높으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위험 증가 ≤ 130mg/dL
      요산 높으면 통풍 가능성, 신장 기능 저하 가능 남: ≤8
      여: ≤7mg/dL
      백혈구 많으면 감염·염증, 적으면 면역저하 4,000~10,000/μL
      혈소판(PLT) 부족 시 출혈성 질환 위험, 과다시 혈전 우려 300,000~500,000/mm³

       

       

       

      연령대별 꼭 확인할 항목 요약
      20~30대 혈압, 콜레스테롤, 간기능, 혈당, 비만도, A/B형간염 항체
      40~64세 위·대장내시경, 자궁/유방검사, 혈당, 간기능, 이상지질혈증
      65세 이
      치매검사, 뇌 MRI, 심전도, 뼈밀도, 암검진 전반